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여느때 처럼 인터넷 기사들을 보고 있었어요. 그중에 눈에 띄는게 하나 있었고, 살펴보았어요. 인터넷 기사는 이러했어요.

남극에서 가장 거대한 A23a 빙산은 서울의 6배 크기이다.
이 빙산에서 19km 크기의 빙산이 붕괴되었다.

이 기사를 요약해 보자면 이러했어요.

세계 최대 빙산 A23a, 첫 붕괴 확인

  • A23a(면적 3,672㎢, 두께 400m)에서 약 19km 길이, 80㎢ 크기의 조각이 떨어져 나감.
  • 영국 남극조사국(BAS) 전문가에 따르면, 이는 빙산 균열의 신호이며 추가 붕괴 가능성 있음.
  • 현재 영국령 사우스조지아섬으로 이동 중이며, 2~4주 내 도착 예상.
  • 섬에 좌초하면 펭귄·물개 등의 생태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음.
  • A23a는 1986년 남극에서 분리됐으나, 무게(1조t)로 인해 웨들해에 좌초되었다가 2020년부터 이동 시작.
  • 2023년 4월 일시 정체 후, 11월부터 다시 북상 중.
  • 앞으로 따뜻한 바다에서 점차 조각날 가능성 있으나, 정확한 예측은 어려움.
  • 기사 원문
    https://n.news.naver.com/mnews/hotissue/article/081/0003514728?cid=1064685&type=series&cds=news_edit
 

서울 6배 ‘세계서 가장 큰 빙산’ 붕괴 조짐…19㎞ 덩어리 ‘뚝’ 분리 [핵잼 사이언스]

고향인 남극대륙에서 떨어져 나와 북상중인 ‘세계에서 가장 큰 빙산’의 붕괴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지난 31일(현지시간) AFP통신 등 외신은 세계에서 가장 큰 빙산 ‘A23a’에서 약 19㎞ 길이에

n.news.naver.com

여기서 궁금한게 있었어요. 

남극에서 가장 큰 A23a 빙산.
A23a 라는 이름은 어떻게 지어진거지?

오늘은 이것이 궁금해서 알아보려해요.


 

빙산 이름, 아무렇게나 붙는 게 아니다?

빙산은 단순히 떠다니는 거대한 얼음 덩어리가 아닙니다.
바다를 떠다니면서 해양 생태계와 기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해운업에도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죠.
그래서 과학자들은 빙산을 추적하기 위해 일정한 명명 규칙을 적용해 이름을 붙입니다.
이 시스템을 관리하는 곳은 바로 **미국 국립 빙설자료센터(NSIDC, 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입니다.

빙산 명명 규칙! A, B, C, D는 무슨 의미일까?

빙산의 이름을 보면 보통 알파벳 + 숫자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규칙을 하나씩 살펴볼까요?

1️⃣ 발생한 지역을 기준으로 알파벳 부여

빙산이 어디서 분리되었느냐에 따라 A, B, C, D 중 하나의 알파벳이 붙습니다.

  • A : 웨들해(Weddell Sea)
  • B : 아문젠해(Amundsen Sea)
  • C : 로스해(Ross Sea)
  • D : 웨스턴 애틀랜틱(Western Atlantic)

예를 들어, 웨들해에서 떨어져 나온 첫 번째 빙산은 "A-1"이 되겠죠!

2️⃣ 순차적인 숫자 부여

빙산이 같은 지역에서 계속 분리되면 순차적인 숫자가 붙습니다.
예를 들어 웨들해에서 분리된 38번째 빙산이면 "A-38"이 됩니다.

3️⃣ 큰 빙산이 추가로 쪼개질 경우 알파벳 추가

만약 A-38이 더 작은 조각으로 쪼개지면?
A-38A, A-38B, A-38C... 이런 식으로 추가 명명이 됩니다.

실제 사례! A23a, 세계에서 가장 큰 빙산의 이야기

최근 뉴스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빙산이 바로 A23a입니다.
이 빙산은 원래 1986년 남극 웨들해에서 A-23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분리되었어요.
하지만 너무 거대해서 그 자리에서 오랫동안 머물다가, 2020년부터 점차 이동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2023년 말에는 본격적으로 북상하며, 사우스조지아섬으로 이동 중이죠.

최근 A23a는 19km 길이의 거대한 조각을 잃었습니다.
이렇게 되면 새로운 빙산이 생성된 것이므로, 추가적인 식별 번호가 부여될 가능성이 큽니다.

반응형

빙산 이름이 중요한 이유는?

빙산 명명법은 단순히 이름을 붙이는 것이 아니라 빙산을 추적하고 연구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특히, 지구 온난화로 인해 빙산이 점점 더 많이 분리되고 있기 때문에, 이런 명명법이 더욱 중요해졌어요.
다음과 같은 이유로 빙산의 이름과 위치를 기록해야 합니다.

기후 변화 연구: 빙산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면 해류와 기후 변화를 분석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해운 안전: 크고 작은 빙산이 항로에 위험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선박 사고를 예방하는 데 필요합니다.
생태계 보호: 거대한 빙산이 특정 지역에 머물거나 좌초되면, 해양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빙산 이름, 앞으로도 계속 변할까?

앞으로도 많은 빙산이 분리되고 이동할 것입니다.
특히 지구 온난화로 인해 남극과 북극의 빙하가 녹는 속도가 빨라지면서, 새로운 빙산들이 계속 생성될 가능성이 높아요.
그만큼 빙산 명명법도 계속해서 활용될 것이고, 새로운 빙산이 등장할 때마다 뉴스에서 접할 기회도 많아지겠죠!

혹시 다음에 A-XX 같은 이름이 뉴스에 등장하면,
"아! 이 빙산은 남극의 어디에서 분리된 몇 번째 빙산이구나!" 하고 이해할 수 있을것 같네요.
궁금하면 못참는 성격에 어떻게 지어지는 이름인지 알아보았어요. 참 신기하네요.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

728x90
반응형